문제풀이/평가원, 교육청, 사관학교, 경찰대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22번 풀이 (250622 풀이)

수학올인 2024. 6. 4. 21:13
반응형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22번 풀이 (250622 풀이)

안녕하세요 수학올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22번 문제를 다뤄보겠습니다.

 

 

 

문제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22번

 

 

 

풀이

반응형

역추적으로 풀 것이다. 위의 규칙을 적용하게 되는 경우는 n이 제곱수인 경우이고

2 이상 15이하의 자연수 n 중 제곱수는 4,9이므로 4,5항 및 9,10항을 중점적으로

관찰하자. 

 

위 내용을 기억하며 표를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이때 전체적으로 네 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가장 왼쪽의 숫자대로 번호를 부여하자.

 

 

 

1번 경우)

이 경우는 미지수를 소거하기 위해 연립방정식

{2a2+3a310=a22a3+3a39=a3

을 풀면 a3=114이고 이를 통해 a1=74임을 얻는다.

구한 값을 반영하여 표를 다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a4>0, a9>0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위의 규칙을 적용했으므로)

직접 계산해보면 두 부등식을 전부 만족시키므로 모순이 없다. 

따라서 a1=74은 가능한 후보 중 하나다.

 

2번 경우)

방정식

3a310=a3

을 풀면 a3=5이고 이를 통해 a1=4임을 얻는다.

구한 값을 반영하여 표를 다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a4<0, a9>0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각각 아래, 위의 규칙을 적용했으므로)

a4>0이므로 모순이다.

 

3번 경우)

방정식

2a211=a2

를 풀면 a2=11을 얻고, 따라서 a1=11이다.

구한 값을 반영하여 표를 다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a4>0, a9<0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각각 위, 아래 규칙을 적용했으므로)

두 경우 모두 만족시키므로 a1=11은 가능한 후보 중 하나다.

 

4번 경우)

직관적으로 가능함을 알 수 있고, a1=12는 가능한 후보 중 하나다.

 

 

 

이상에서 가능한 a1의 곱은

(74)×(11)×12=231

이다.

 

 

 

최근에 기출된 문제인 2025학년도 5월 모의고사 수학 15번이나 2024학년도 수능 15번

문제보다는 역추적으로 접근했을 때 약간 시간이 조금 더 걸리는 편이네요.

 

개인적으로 이 자리에는 15번 문제가 오는 것이 맞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블로그에서 다룬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문제
(클릭시 이동)

-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15번 
-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21번
-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22번 (현재)
-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미적분) 28번
-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미적분) 29번
-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미적분) 30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