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풀이)
안녕하세요 수학올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2022년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의 정답과 풀이를 다뤄보겠습니다.
풀이는 전부 제 풀이이며, 따라서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원본 시험지는 제가 공유하지 않으며, 세종대학교 입학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종대학교 입학처 - 기출문제 - 편입학)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빠른 정답

빠른 정답은 위 사진을 참고해 주시고, 아래는 문항별 풀이입니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번 풀이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번 풀이
매개변수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법으로부터
이고
이다. 따라서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3번 풀이
이므로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4번 풀이
구하는 곡선의 길이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5번 풀이
먼저 역쌍곡함수의 정의로부터
임에 주목하자 그러면 (역함수 적분의 항등식) 으로부터
이 성립한다. 따라서 구하는 적분값은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6번 풀이
구하는 곡선의 길이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7번 풀이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8번 풀이
구하는 겉넓이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9번 풀이
주어진 대칭행렬을 직교대각화하여 얻은 행렬의 주대각선에 나타나는 수는
행렬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0번 풀이
구하는 회전체의 부피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1번 풀이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을 만족하려면 행렬
따라서 행렬
이므로 양수이다.
이다.
이다.
두 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는다.
이를 만족시키지 않는 선지는 3번 뿐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2번 풀이
이다.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수렴 반지름은 비율판정법으로부터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3번 풀이
주어진 벡터장의 포텐셜함수가
따라서 선적분의 기본정리를 적용하면 주어진 적분은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4번 풀이
행렬
즉, 켤레전치
이때 두 행렬
1행 2열, 2행 1열은 부호만 다르다.
따라서 둘이 같아지려면 1행 2열과 2행 1열이
임을 의미한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5번 풀이
적분순서를 변경하면 주어진 적분은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6번 풀이
ㄱ.
ㄴ. 일반항의 극한이
ㄷ. 교대급수판정법으로부터 수렴한다.
ㄹ. 어떤 자연수
이 성립한다. 따라서 비교판정법으로부터 발산한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7번 풀이
주어진 식
은 이차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차형식으로 표현했을 때 대칭행렬은
이다. 이제 이 이차형식이
와 같이 직교대각화를 통해 나타내어진다고 가정하자.
(단,
로 변수변환하면 영역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8번 풀이
이다. (단,
그러면 경로
즉, 구하는 선적분은
이며, 이때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19번 풀이
주어진 곡면의 내부를
이다. 이제
로 변수변환하면 영역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0번 풀이
ㄱ.
ㄴ. 디리클레판정법으로부터 수렴한다.
ㄷ. 계산을 통해 수렴함을 알고있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1번 풀이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을 이용하면
이 성립한다. 이때 등호는
일 때 성립하는데, 모든 식을
이다. 이를 곡면
그런데 그냥 대입하면 차수가 맞지 않으므로 양변을 제곱한 곡면
에 대입하면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2번 풀이
영역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3번 풀이
가 성립한다. (단,
한편 임의의 행렬
가 성립하므로,
한편 변환
을 만족시키는 대칭행렬
이므로, 행렬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4번 풀이
이다.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25번 풀이
와 두 점
가 수직이어야 한다. 즉 내적을 계산하면
이다. 이 식에서 주어진 구면의 방정식을 빼면
를 얻고, 점
이제 주어진 문제는 두 제약조건
하에서
라그랑주 승수법을 사용해도 되며, 본 풀이에서는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을 이용한다.
첫 번째 제약조건의 식을 이항하면
를 얻고, 마찬가지로 두 번째 제약조건의 식을 이항하면
를 얻는다. 이제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으로부터
인데, 위의 두 식을 대입하면
를 얻고, 정리하면
임을 얻는다. 이제
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면
가 구하는 최대와 최소의 합이 된다.
마치며
이상으로 2022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을 마치겠습니다.
오류, 오타 또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편입수학 기출문제 풀이 > 세종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2024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풀이) (4) | 2024.09.10 |
---|---|
[편입] 2023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풀이) (21) | 2023.11.12 |
[편입] 2021 세종대학교(오후)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풀이) (1) | 2023.11.03 |
[편입] 2021 세종대학교(오전)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풀이) (2) | 2023.11.02 |
[편입] 2020 세종대학교 편입수학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풀이) (3) | 2023.11.01 |